강아지 건강검진 주기
강아지 건강검진 주기는 반려견과 함께하는 보호자에게 기본적인 상식이다. 또한 강아지 반려견 나이가 어떠한지에 따라, 상태가 어떠한지에 따라 병원 방문 주기가 달라지기 때문에 케어를 해줄 필요가 있다.
강아지 건강검진
병원 방문 주기 Tip
강아지 건강검진 주기는 나이, 건강 상태, 견종 및 생활 환경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기본적이고도 일반적인 지침을 나눠보고자 한다.
유모견 (8주 이하)
유모견은 매주 또는 2주에 한 번 동물병원을 방문하여 예방 접종 및 건강 상태를 확인해야 한다.
사람도 태어나자마자 신생아 시기에 조심스레 케어하는 것처럼 강아지 또한 모견, 보호자로부터의 보살핌이 필요하다.
성장기 (2개월 ~ 6개월)
2개월부터 6개월까지는 강아지의 성장과 발육이 빠른 시기이다. 또한 기본적으로 접종해야 하는 기본 예방접종, 광견병 등 다양한 접종이 시작되는 시기이다. 매달 동물병원을 방문하여 접종 스케줄을 준수하고 건강 검진을 받아야 한다.
어린 강아지 (6개월 ~ 2년)
어린 강아지는 6개월에서 2년 동안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는 것을 권장한다. 이 기간 동안 예방 접종을 완료하고 건강한 성장을 지원하는 음식 및 운동 스케줄을 설정해야 한다.
성견 (2년 이상)
2년 이상 된 강아지는 1-2년에 한 번씩 정기적인 건강검진을 받아야 한다. 이를 통해 숨겨진 건강 문제를 조기에 발견하고 예방 및 관리할 수 있다.
노령견 (7세 이상)
노령견은 성견 때보다 좀 더 건강 검진 주기를 더 자주 늘릴 수 있으며, 건강 상태를 더 자주 모니터링해야 한다. 훨씬 정교한 건강 관리와 식사 조절이 필요할 수 있다.
위의 지침은 일반적인 가이드라인으로서 참고용으로만 사용해야 한다. 왜냐하면 사람도 똑같은 연령대라 하더라도 건강에 따라, 살아온 환경 등에 따라 건강 상태가 아예 다를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중요한 점은 나이뿐 아니라 강아지 종에 따라 각각 케어 방식 등에 차이가 날 수 있다는 것이다.
개별적인 상황과 견종 특성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나는 말티즈를 주로 입양, 임보해온 케이스인데 말티즈의 경우에는 눈 건강, 슬개골 탈구, 심장병 등 집중적으로 케어해야 하는 부분들이 있다. 그래서 이른 나이부터 슬개골 탈구에 도움이 될 수 있는 관절영양제, 눈 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눈영양제 등을 먹이고 있다. 사람도 영양제를 무조건 많이 먹는다고 좋은 것이 아닌 것처럼 강아지 영양제 또한 무조건적으로 다량 급여하는 것이 좋지는 않다. 그렇기 때문에 강아지의 건강 상태를 충분히 고려하여 동물병원 수의사의 조언을 듣는 것이 중요하다.
즉 강아지 건강검진 주기는 개별적으로 결정되어야 하며, 건강한 생활을 지원하고 문제를 미리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으니 경제적으로 부담이 된다는 이유로 회피하기 보다는 일찍부터 관리해 주는 것이 좋다.